아이의 행동이 또래보다 지나치게 공격적이거나, 타인을 자주 괴롭히는 모습을 보인다면 '품행 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가 단순한 행동 문제이고, 어디서부터 치료가 필요한 문제인지 혼란스럽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부모님과 교사들이 꼭 알아야 할 품행 장애의 주요 증상, 진단 가능한 나이, 그리고 지원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1. 품행 장애란 무엇인가요?
품행 장애(Conduct Disorder, CD)는 사회 규범이나 타인의 권리를 반복적으로 침해하는 행동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단순한 반항이나 감정 기복과는 구별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이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2. 주요 증상 체크
다음 중 12개월 이상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 3가지 이상이라면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증상 유형 | 대표 행동 |
공격적 행동 | 싸움 걸기, 동물이나 사람에게 신체적 해를 가하기, 무기 사용 |
재산 파괴 | 불을 지르거나 물건 고의로 파괴하기 |
사기 및 절도 | 거짓말로 이득 얻기, 몰래 물건 훔치기 |
규칙 위반 | 밤늦게가지 외출, 가출 반복, 무단 결석 |
✅ 특히 또래 친구나 교사에게 공격적인 언어를 자주 사용하거나, 타인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는 행동이 잦다면 반드시 관찰이 필요합니다.
3. 진단 가능한 나이와 시기
품행 장애는 일반적으로 만 5세 이후부터 진단이 가능합니다.
- 5~10세 : 초기 발병(early onset) → 행동 문제의 지속 가능성이 높아 더 적극적인 개입 필요
- 10세 이후 : 청소년기 발병(adolescent onset) → 반항장애, ADHD 등의 동반 질환과 구분 필요
💡 단, 만 5세 미만 유아의 경우 '품행 장애'보다는 '행동 발달 지연'이나 '정서적 어려움'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4. 품행 장애 아동을 위한 지원 방법
✅ 1) 진단 및 평가 기관 이용하기
- 소아정신과 병원
-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아동청소년팀
- 영유아발달지원센터, Wee센터(학교 기반)
✅ 2) 부모 교육과 양육 코칭
- 품행 장애 아동은 단순히 혼낸다고 좋아지지 않습니다.
- 긍정적 훈육, 일관된 규칙 적용, 감정 코칭이 핵심입니다.
✅ 3) 인지행동치료(CBT)
- 아이의 충동 조절, 공감 능력, 문제 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 4) 학교와의 관계
- 교사와 협력하여 일관된 행동 전략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필요시 개별화교육계획(IEP) 수립도 고려해 볼 수 있어요.
📌 품행 장애와 헷갈리기 쉬운 진단들
- 반항 장애(ODD) : 공격성보다는 권위에 대한 지속적 반항 중심
- ADHD : 주의력 결핍, 충동성이 핵심 / 품행 장애와 함께 나타나기도 함
- 정서적 트라우마 : 외상 경험에 따른 감정 조절 어려움 중심
✅ 조기 개입이 아이의 미래를 바꿉니다
품행 장애는 방치하면 학업 실패, 또래 관계 단절, 범죄 연루 등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조기 진단과 꾸준한 개입으로 충분히 개선이 가능합니다.
"아이의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는 마음으로, 부정적인 행동 이면의 신호를 읽고 도와주세요.
자기중심성이 강한 아이, 사회화 경험 돕는 5가지 방법
"내 맘대로 안 되면 울고 떼쓰는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어떤 아이는 장난감을 나누지 않으려 하고, 또 어떤 아이는 놀이 규칙을 본인이 정하지 않으면 아예 놀이 자체를 거부하기도 합니다."왜
enjoybliss93.com
아이의 버릇없는 말투, 어떻게 바로잡을까? 부모를 위한 실천 가이드
😟 우리 아이, 왜 이렇게 버릇없이 말할까? "싫어!", "안 해!", "왜 그래?"아이 입에서 튀어나오는 버릇없는 말투에 부모 마음은 덜컥 내려앉습니다.특히 외부에서 이런 말투가 나오면 부끄럽고,
enjoybliss93.com
또래 갈등 해결 훈련, 가정에서 이렇게 실천하세요!
"같이 놀다가 갑자기 싸웠어요.." 집에서도 해줄 수 있는 사회성 훈련법이 궁금하신가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친구랑 싸웠어요"입니다.우리 아이가 때로는 친
enjoybliss93.com
'영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중심성이 강한 아이, 사회화 경험 돕는 5가지 방법 (2) | 2025.09.22 |
---|---|
아이의 버릇없는 말투, 어떻게 바로잡을까? 부모를 위한 실천 가이드 (0) | 2025.09.16 |
기저귀 떼기 골든 타임과 훈련법 총정리! (3) | 2025.07.29 |
불안 많은 아이,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5가지 포인트 (1) | 2025.06.25 |
아이의 평생 치아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 유아기 양치 습관, 이렇게 시작하세요 (0) | 2025.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