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잘했어!", "역시 똑똑하네!"
이런 말, 아이에게 자주 하시나요?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엄마, 저 잘했어요?", "이거 하면 칭찬해 줘요?"라고 묻는 모습이 늘었다면...
그 칭찬, 아이의 내면 동기를 빼앗고 있는 건 아닐까요?
🚨칭찬, 언제부터 문제일까?
칭찬은 분명 아이의 행동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잘못된 방식의 반복적인 칭찬은
도리어 의존성, 불안, 낮은 자존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칭찬의 역효과 4가지
올바른 칭찬이 아닌 조건부 칭찬, 결과 중심 칭찬이 주는 문제점들을 살펴볼게요.
1. 결과 중심 칭찬 = 실패 공포
"100점 맞았네! 역시 똑똑하구나!"
이런 칭찬을 반복적으로 듣는 아이는
과정을 무시하고 결과만 중시하게 됩니다.
그 결과, 도전보다 실패 회피를 택하게 되죠.
예시 :
민지는 독서 발표회에서 1등을 했습니다.
"와~ 역시 우리 민지, 천재야!"
라는 말을 들은 민지는 그다음부터
1등이 아닐 것 같으면 참여하지 않으려 했어요.
2. 외부 인정에 대한 의존
"이거 하면 칭찬받을까?"
"선생님이 나 칭찬해 줬으면..."
칭찬에만 반응하게 되면,
자기만족이 아닌 외부 인정을 기준으로 삼게 됩니다.
이런 아이는 성인이 되어서도 타인의 평가에 의존할 위험이 있어요.
3. 부모의 통제 수단이 되는 칭찬
"착한 아이네~ 엄마 말 잘 들어서!"
이런 말은 사실 순응을 유도하는 칭찬입니다.
결국 아이는 자신의 감정보다
부모의 기분을 맞추는 행동을 선택하게 되죠.
예시:
준호는 친구에게 싫다고 말하고 싶었지만,
'착한 아이' 소리를 듣고 싶어 자신의 감정을 억눌렀습니다.
4. 경쟁심과 질투 유발
"누가 제일 잘했을까? 지훈이가 제일 멋졌어~!"
이런 칭찬은 비교를 통한 자존감 상승을 유도합니다.
결과적으로 관계 기반의 불안정한 자존감을 형성하게 됩니다.
💡건강한 칭찬을 위한 팁
❌피해야 할 칭찬 | ✅이렇게 바꿔보세요 |
"너 최고야!" | "그만큼 노력했구나~" |
"너는 항상 똑똑해" | "그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말해줄래?" |
✅칭찬보다 더 중요한 것은 관심과 공감
칭찬은 자주 할수록 좋다는 믿음,
이제는 조금 조심할 필요가 있어요.
아이의 행동 이면을 들여다보고
결과보다 과정, 순응보다 자율성, 비교보다 성장을 보는
말 한마디가 아이를 자존감 높은 어른으로 키웁니다.
↓ 아래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부정어와 긍정어, 훈육 언어의 균형을 잡아요
"안 돼!" 말하면 안 되나요?- 긍정 언어와 부정 언어, 훈육 언어의 균형 잡기 아이를 키우면서 하루에도 몇 번씩 하게 되는 말,"안 돼!", "하지 마!", "그렇게 하면 안 돼!"그런데 요즘은 또 이런 말보
enjoybliss93.com
불안 많은 아이,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5가지 포인트
매사에 걱정 많은 우리 아이, 괜찮은 걸까? 새로운 사람 앞에서 움츠러들고,낯선 상황에 쉽게 당황하거나작은 일에도 불안해하는 우리 아이... 부모 입장에선 "괜찮아~", "무서울 거 없어"라고 말
enjoybliss93.com
아이의 평생 치아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 유아기 양치 습관, 이렇게 시작하세요
양치는 전쟁 아닌 일상이어야 해요!"양치하자!"는 말만 꺼내도 도망치는 아이, 혹시 우리 집 이야기인가요?하지만 유아기의 양치 습관은 아이의 치아 건강뿐 아니라 자율성과 생활 습관 형성에
enjoybliss93.com
'부모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어와 긍정어, 훈육 언어의 균형을 잡아요 (1) | 2025.07.01 |
---|---|
한 끼가 전쟁? 아이 식사 거부 시 부모가 절대 하면 안 되는 말 5가지 (0) | 2025.06.10 |
육아하면서 더 멀어졌다면? 남편과의 갈등 줄이는 대화법 (0) | 2025.04.26 |
육아 스트레스 해소하는 방법,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5.04.24 |
혹시 나도 육아 우울증? 간단한 자가진단으로 체크하세요! (0) | 2025.04.24 |